예를 들어, 2013년에 실시된 연구에서는 LLLT를 24주간 사용한 결과, 모발의 밀도와 굵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.
이 연구는 가짜 치료와 비교했을 때도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, 큰 부작용 없이 진행되었습니다.
또한, LLLT를 기존의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함께 사용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.
미녹시딜은 주로 혈관을 확장시켜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데, LLLT는 세포를 자극해 모발이 자라게 하기 때문에 두 치료법이 함께 사용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함암치료 후 탈모(CIA)에서의 효과
항암 치료를 받는 많은 환자들이 탈모를 겪습니다. LLLT는 이러한 탈모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
예를 들어, 2023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, 항암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들이 LLLT를 사용한 후 모발 수와 길이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그러나 LLLT 장치의 설계와 사용 방법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,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.
또한, LLLT는 항암 치료로 손상된 모낭 세포를 회복시키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이는 탈모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.
LLLT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
LLLT는 비교적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탈모 치료법으로 평가받고 있지만, 더 확실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.
특히, 항암 치료로 인한 탈모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,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합니다.
또한, LLLT 장치의 설계나 빛의 파장, 조사 시간 등의 변수가 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.
LLLT의 치료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빛의 강도나 빈도, 조사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.
결론
LLLT는 남성형 탈모, 여성형 탈모, 항암 치료로 인한 탈모 등 다양한 탈모 치료에 있어서 유망한 방법입니다.
특히, 비침습적이고 부작용이 적다는 점에서 많은 환자들에게 매력적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.
그러나 모든 유형의 탈모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기술적 개선이 필요합니다.
앞으로의 연구는 LLLT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, 다양한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치료 방법을 찾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.
참고문헌
1.Glass GE. Photobiomodulation: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low-level light therapy. Aesthet Surg J. 2021;41(6):723–738. doi:10.1093/asj/sjab025
2.Guo Y, Qu Q, Chen J, et al. Proposed mechanisms of low-level ligh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ndrogenetic alopecia. Lasers Med Sci. 2021;36(4):703–713. doi:10.1007/s10103-020-03159-z
3.Mahe YF, Cheniti A, Tacheau C, et al. Low-level light therapy downregulates scalp inflammatory biomarkers in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and boosts minoxidil 2% to bring a sustainable hair regrowth activity. Lasers Surg Med. 2021;53(9):1208–1219. doi:10.1002/lsm.23398
4.Esmat SM, Hegazy RA, Gawdat HI, et al. Low level light-minoxidil 5% combination versus either therapeutic modality alone in management of female patterned hair loss: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. Lasers Surg Med. 2017;49(9):835–843. doi:10.1002/lsm.22684
5.Wu CX, Li CH, Shiao YH, Cheng HY, Wu TH, Lee CH, Chang ZY, Yeh YC. The effect of a helmet type, home-use low-level light therapy device for chemotherapy-induced alopecia: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. Trials. 2023 Dec 5;24(1):789. doi: 10.1186/s13063-023-07823-x. PMID: 38053197; PMCID: PMC10696878.
6.Behrangi E, Roohaninasab M, Sadeghzadeh-Bazargan A, et al. A systematic review on the treatment of pediatric severe alopecia areata by topical immunotherapy or Anthralin (contact sensitization) or low-level light/laser therapy (LLLT): focus on efficacy, safety, treatment duration, recurrence, and follow-up based on clinical studies. J Cosmet Dermatol. 2022;21(7):2727–2741. doi:10.1111/jocd.14480
7.Barikbin B, Khodamrdi Z, Kholoosi L, et al.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665 nm low level diode Laser Hat versus and a combination of 665 nm and 808nm low level diode Laser Scanner of hair growth in androgenic alopecia. J Cosmet Laser Ther. 2017. doi:10.1080/14764172.2017.13266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