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118
성장기탈모 원인과 치료 방법ㅣ갑상선 질환 탈모, 방사선, 암치료
작성일
2023-05-31
조회수
1181
성장기 탈모는 내인적 또는 외인적 원인에 의해 모낭의 갑작스럽게 손상되어 모발이 미만적으로 빠지게 되며, 스트레스, 화학 요법 등이 그 예입니다. 급성적으로 발생하여, 몇 주 - 몇 달 내에 머리카락의 최대 90%가 빠집니다. 두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머리가 빠질 수 있으며 눈썹, 체모 등에서도 빠질 수도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는 항암 화학 요법 및 방사선과 같은 암 치료로 인해 발생하지만, 치료가 중단되면 대부분 다시 자라게 됩니다.
모발 성장 주기에서 성장기는 머리카락이 자라는 단계이며, 약 90퍼센트의 모발을 차지하고, 2년 ~ 6년 정도 기간을 가집니다. 다른 두 단계는 퇴행기와 휴지기 단계이며,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. [caption id="attachment_148038" align="alignnone" width="700"]
모발의 성장주기[/caption] 모발 성장 주기의 3가지 단계에서 성장기에서 모발이 빠지는 탈모 타입이라 고 볼 수 있으며, 대부분의 모발은 성장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상당한 탈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진단 및 감별을 위해서 환자의 병력, 모발 당김 테스트, trichoscopy 등을 진행합니다.
모든 모발은 피부 아래의 모낭에서 자랍니다. 두피에만 약 80,000-100,000개의 모낭이 있으며 각각 모발 성장 주기의 다른 지점에 있습니다. 모발이 조기에 휴지기 단계에 들어가는 휴지기 탈모 와 달리, 성장기 탈모는 항암 화학요법/방사선요법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 등이 모낭의 대사 활동을 손상시킬 때 발생합니다. 성장기 탈모의 주요 원인은 화학 요법이며, 다른 유발 요인으로는 감염, 자가면역 질환, 방사선, 두피에 독성이 있는 물질 또는 약물일 수 있습니다.
항암 화학 요법은 성장기 유출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, 항암 화학 요법 환자의 거의 80%가 성장기 탈모를 경험합니다. 일반적으로 항암 화학 요법 후 2-4주 내에 나타나는 성장기 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 항암 화학 요법과 마찬가지로 방사선 요법은 모낭을 손상시키고 성장기 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손실되는 모발의 양과 유형은 방사선의 유형과 선량, 치료받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릅니다.
두부 백선과 같은 진균 감염 등은 두피의 모발 성장을 방해합니다. 이로 인해 그 부분에 탈모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면역 체계가 기능 장애를 일으켜서 자신의 신체를 공격하기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. 이에 대한 성장기 탈모를 유발할 수 있는 탈모는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, 루프스 등이 있습니다.
사례는 적지만, 진통소염제 같은 경우 프로스타글란딘에 영향을 주어 다량 복용 시 성장기 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 탈모를 유발할 수 있지만, 모발 성장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.
대부분의 성장기 탈모는 대부분 일시적으로 나타나며, 모낭은 영구적으로 손상되지 않고, 기본 원인이 치료되거나 해결되면 일반적으로 모발이 다시 자랍니다. 탈모가 항암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으로 인한 것이라면 일반적으로 치료 과정을 마친 후 6개월 이내에 모발이 다시 자랍니다. 감염에 의한 것이라면, 원인균 의심하에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를 먹거나 두피에 도포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. 자가 면역 질환에 의한 것이라면 자가 면역 질환 특성상 만성적인 부분이 있어 어려울 수 있습니다. 탈모가 약물로 인한 것이라면, 현재 약물의 복용량을 조절하거나 중단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.
미녹시딜과 같은 탈모 치료제는 모낭을 자극하여 모발이 다시 자라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닥터모애드M 캡슐은 맥주효모, 각종 비타민과 아미노산등 모발 성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,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두피 저체온 치료는 냉각 캡이나 얼음 팩, 두피 냉각을 통해 두피의 혈관의 혈류를 감소시켜, 모낭에 도달하는 항암 화학 약물 등을 제한하는 방법입니다.
뉴헤어모발성형외과의원
작성자 : 박주성 원장
뉴헤어모발성형외과의원 진료문의 |
02- 557 - 2022 |
카카오톡 문의 바로가기 |
위치지도보기 |